standalone 카프카(kraft모드 in local) 실행을 위한 준비와 실행
$ bin/kafka-storage.sh random-uuidcKUMbEGERui8cHUhwdc6XA$ bin/kafka-storage.sh format -t cKUMbEGERui8cHUhwdc6XA -c config/kraft/server.propertiesFormatting /tmp/kraft-combined-logs with metadata.version 3.6-IV2.$ bin/kafka-server-start.sh config/kraft/serv
blog.voidmainvoid.net
지난 포스팅에서 kraft모드를 로컬에서 실행할 때 차례대로 실행해야 하는 코드를 올린적이 있었는데, 불편해서 한줄로 요약한 버전을 올려봄!
$ UUID=$(bin/kafka-storage.sh random-uuid | tr -d '\n') && echo "Generated UUID: ${UUID}" && bin/kafka-storage.sh format -t "${UUID}" -c config/kraft/server.properties && bin/kafka-server-start.sh config/kraft/server.properties
- bin/kafka-storage.sh random-uuid로 UUID를 생성하고 변수 UUID에 저장합니다.
- 생성된 UUID를 출력합니다.
- 해당 UUID를 사용하여 Kafka storage를 format 합니다.
- 마지막으로 Kafka 서버를 시작합니다.
반응형
'빅데이터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프카에서 데이터 삭제는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0) | 2025.02.13 |
---|---|
kafka 4.0부터는 스칼라 2.12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0) | 2025.02.13 |
KIP-932: Queues for Kafka 조사 (0) | 2025.01.12 |
standalone 카프카(kraft모드 in local) 실행을 위한 준비와 실행 (0) | 2024.06.23 |
카프카 컨슈머의 auto.offset.reset 옵션을 반드시 earliest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1) | 2024.02.05 |
카프카에서 계층 저장소(Tiered storage)가 필요한 이유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