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ubernetes에는 3개의 service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객체가 있다.
Load balancer > Node Port > ClusterIP 총 3개의 service 존재
네트워크 종류별 사용 연결 예제
stateless application으로 띄울 경우 ip는 항상 바뀌므로 이를 명심하여 사용.
ClusterIP
* 내부 POD끼리만 통신가능, 외부는 안됨
* 내부 ip를 알아내기 위해 internal DNS를 사용
Node Port
* 외부 사용자 혹은 client와 통신하기 위함
* Node Port를 만들면자동으로 clusterIP가 생성됨.
* 내부 clusterIP가 아닌 또 다른 클러스터 바깥의 Load balancer을 통해서 요청이 들어옴. 해당 요청이 다시 clusterIP의 내부 LB를 통해 접속.
Load balancer
* 외부 로드밸런서용도(client로 부터 요청받기 위함)
* LB 만드는 분 : AWS, azure, 구매 혹은 직접 만들기(on-promise)
반응형
'DevOps >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배포를 하기 위한 준비 readinessProbe, livenessProbe (0) | 2018.05.03 |
---|---|
INGRESS를 사용한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심화(sticky session, ssl connection) (0) | 2018.05.03 |
INGRESS를 사용한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설치 및 연결 (1) | 2018.05.03 |
쿠버네티스 service를 사용한 네트워크 설정 (2) | 2018.05.02 |
쿠버네티스 service를 통한 네트워크 설정 개념정리 (5) | 2018.05.02 |
쿠버네티스 RC를 통한 POD생성 및 Probe를 통한 health check (0) | 2018.05.02 |
쿠버네티스 설치 (0) | 2018.05.02 |
좋은 자료 너무 잘 보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자료에는 그림이 잘못 첨부되었거나 없는것 같은데 어떤 그림인지 궁금합니다. 수정 가능 할까요??ㅠ
그림 첨부가 없는 내용인데 잘못 넣었네요.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연결 예제" 라는 것이, 아래 3가지 방법으로 하면 안된다는 건가요?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어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